최근 인류공통의 위기인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국제환경포럼이 국내에서 열려 주목을 받았다. 인류의 미래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에서 최재천 교수는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정부의 선택은 바람직하지만 환경문제를 기술개발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며 환경기술개발 전에 삶의 양식 자체가 녹색으로 변해야 한다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1997년 일본 교토에서 열린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는 선진국들에게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부여함으로써 기후변화협약의 돌파구를 열었다. 우리나라는 2012년 이후 구속적 감축목표 이행국인 협약당사국에 포함돼야 한다는 선진국들의 압력을 받고 있다. 2010년에는 전세계 탄소시장 규모가 1조5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세계은행이 전망할 정도로 탄소 배출권 거래 등은 제2의 산업혁명을 예고하고 있다. 세계 선진도시들은 이미 사활을 걸고 화석연료 줄이기에 나서고 있다.

인천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천585만7천여t으로 전국 16개 시도 중 4번째다. 본보가 기획시리즈를 통해 세계 선진도시와 국내 타도시들에 비해 한참 뒤처진 인천시의 기후변화 대응전략을 신랄하게 꼬집었다. 아직도 어느 분야에서 얼마나 온실가스가 배출되는지를 분석할 수 있는 기초자료조차 없고 예산도 고작 5천만원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정부가 얼마 전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적인 실행계획을 발표했다. 온실가스 감축과 수자원관리가 핵심 내용이다. 인천시도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에 발맞추기 위해 조력발전소에 이어 해상풍력발전단지, 수소연료전지발전소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 확대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고 한다.

교토의정서 발표 이후 에너지 절약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일본이 쏟아온 노력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6년 일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0년에 비해 6.2%나 상승했다. 이는 에너지 절약이나 온실가스 감축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잘 보여 주고 있다. 우리는 이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기후변화 대응에 더 이상 꾸물거릴 시간이 없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