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고교 2학년 학생에게 적용되는 2008학년도부터는 생활기록부의 교과와 수능이 9등급제로 전환된다. 성적 부풀리기를 방지하기 위해 학교생활기록부는 원점수(과목평균, 표준편차) 표기제를 실시하고 수능은 최저자격기준으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2008학년도 입시에서는 학교생활기록부의 반영 비중이 확대될 것이 자명해 보인다. 실제로 정부는 올해 입시에서 대학에 내신을 50% 이상 반영하기를 요구하고 있고 대학별 고사(논술, 적성평가, 심층면접)의 가이드라인을 충실히 따를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부의 요구는 고교와 대학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정부는 내신 비중을 높임으로써 공교육 정상화를 실현할 수 있다고 여기지만 결과적으로 학교 내에서의 과도한 내신 경쟁 유발과 내신 관리를 위한 사교육비 지출이라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대학은 평어를 통한 평가보다는 주로 백분위를 사용하고 있다.

때문에 주요 20여개 대학들은 특정 고교의 성적 보다는 고교간 성적 차이를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에 고심을 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결과를 지역, 학교, 학생을 식별하는 한도에서 공개하지 않는 한 대학은 내신보다는 논술, 적성평가, 심층면접 등의 대학별 고사에 비중을 두어 학생을 선발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대학별 고사에서 특정교과의 암기된 지식을 묻는 문제, 수학·과학과 관련된 풀이의 과정이나 정답을 요구하는 문제, 한문·영어·수학 등 특정교과와 관련된 지식을 측정하는 문제 등을 다루지 말 것을 대학에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각 대학은 작년 기출문제와 다른 새로운 유형의 논술과 적성평가 문제를 만들어 내야 하고 이로 인하여 일선 학교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대학별 고사를 대학에서 홈페이지나 모의고사를 통하여 공개하는 예시문항을 토대로 올해의 문제를 예측하여 지도하고 있으나 정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정보가 빠른 사교육 시장은 최대 호황을 누리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현재 학생과 교사가 겪고 있는 대학별 고사의 준비와 지도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대학이 필요로 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결과를 공개하고 각 대학이 시행하고 있는 대학별 고사에 대한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여야 한다. 물론 각 대학은 대학별 고사에서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지식 범위의 한계를 7차 교육과정 안으로 명확히 설정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적성평가에 대해서는 국민교육공통기본과목, 심층면접이나 논술에 대해서는 심화과정을 포함한 고교 전교육과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공교육하에서 대학별 고사의 지도가 어려워지고 따라서 사교육 시장의 팽창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이렇게 생각하는 것은 교육부의 본고사 불가 방침을 단순히 지식을 묻지 말라는 지시로 해석하기 보다는 공교육 정상화라는 목적에 따른 것으로 해석하기 때문이다. 또 대학은 대입의 사회적 영향력을 고려하여 공교육을 정상적으로, 성실하게 이수한 학생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학생을 평가해야 한다. 고등학교까지에서 다루는 그 많은 지식을 버리고 굳이 소수의 학생들만이 접할 수 있는 심화된 지식을 요구하는 것은 대학의 횡포로 보인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