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각 학교에 집단식중독 주의보가 내려졌다.

29일 현재 9개 학교 1천625명의 학생이 식중독 의심 증세를 보인 것으로 보고됐으며 이 중 일부 학생은 아직도 병원 진료 중이다.4개 중·고등학교는 기말고사를 연기하는 등 학사일정을 조정해야 할 정도로 이번 식중독 사고의 파괴력은 대단하다.

사고의 중심에 서 있는 CJ푸드시스템은 아예 학교급식에서 손을 떼겠다고 밝혔고 인천시교육청은 CJ푸드가 주방기구를 무상기부할 17개 학교 전체를 위탁직영 방식에서 직영으로 전환하겠다고 못을 박는 등 사후 대책을 마련했다. 학교급식 위생·안전 점검 실시, 검수 철저 등도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것으로 학교와 교육청이 책임을 다하는 것은 아니다. 아직 전문기관의 조사가 진행 중이어서 식중독 사고의 근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밝혀지지 않았지만 사고를 낸 대기업이 중고 조리 기구를 거저 내놓고 학생들의 진료비를 대납해 준다고 면죄부까지 줘서는 안 된다. 끝까지 책임을 묻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고 외부에만 책임을 떠넘길 것이 아니라 학교 내부로 눈을 돌려야 한다. 학교와 급식업체간의 은밀한 거래는 이제 비밀 축에도 끼지 못한다. 이번에 식중독 증상이 나타난 학교 뿐만 아니라 급식을 실시하는 전체 학교를 대상으로 철저한 감사를 실시, 학생들의 건강을 담보로 개인의 배를 채운 학교 관계자들과 업자들을 찾아내 처벌해야 한다. 더불어 이 악의 축을 끊어 낼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업자들은 학교장이 조금만 더 신경 쓰면 학교 급식의 질이 달라진다고 고백하고 있다. 일부 교장은 학교를 옮길 때마다 거래처까지 끌고 간다는 주장까지 한다. 더 큰 사고가 터지기 전에 이들을 감시할 제도를 만들어 내야 한다.

특히 이번에는 학교운영위원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7월말에 교육위원 선거가 준비돼 있기 때문이다. 교육계에서는 교육감 선거에까지 업자들이 개입한다는 소문이 공공연하다.

벌써부터 이번 교육위원 선거에서도 어느 납품업자와 어느 후보가 손을 잡았다는 소문이 무성하고 어느 교육위원은 그동안 모 업자의 뒤를 봐줘 왔다는 설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교육관련 납품 업자들까지 너나없이 교육위원에 출마할 태세다.

교육자치제도 하에서 학교 현장을 감시하고 집행부를 견제해야 할 교육위원이 업자와 한통속이 된다면 급식업계의 정화는 말 그대로 ‘백년하청’이다.

급식기구에 대한 미생물조사를 안 해서, 학교급식 모니터링이 부실해서 식중독 사고가 나는 것이 아니다.학생들의 건강을 책임져야 할 학교 관계자와 교육관료, 급식업자들이 생명의 근본인 ‘밥’을 ‘돈’으로 보기 때문에 학생들이 설사와 구토를 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