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중국 베이징에서는 한·중 과학기술장관 회담이 열려 과학기술 분야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황사에 공동 대처하기 위해 황사 관측소를 추가로 칭다오(靑島) 단둥(丹東) 등 5곳에 조속히 설치하기로 합의했다. 기존 황사 관측망은 황사 발원지인 네이멍구(內蒙古), 황토고원, 이동경로인 다롄(大連)등 5곳에 불과한 실정이다.
지난 4월 8일 정확한 기상청의 예보도 없이 들이닥쳤던 사상 최악의 ‘황사 테러’는 우리사회에 커다란 충격을 던져 주었다. 그 이전까지만 해도 황사는 매년 봄이면 으레 찾아오는 불청객 중의 하나였고 마스크 등을 쓰면 웬만한 호흡기 질환쯤은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하늘이 컴컴할 정도로 낮게 깔려서 악취까지 심하게 풍기던 이 날의 황사는 마스크 착용도 거의 소용없었다. 휴일인 다음날까지 이어졌던 이날 황사로 커다란 피해를 본 국민들은 분통을 터뜨렸고 급기야 기상청장이 직접 나서서 황사가 통상의 루트를 벗어나 어쩔 수 없었다고 해명하는 사태로까지 치달았다.
황사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도 문제지만 황사와 함께 날아오는 각종 오염물질이 더욱 큰 문제다. 얼마전 인하대 산업의학과 임종한 교수는 낮은 농도의 대기오염에 노출된 임신부도 미숙아 출산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는데 우리나라 대기오염 물질의 절반이 중국으로부터 날아온다는 사실이 조사 결과 밝혀졌다. 뉴욕타임스도 최근 중국의 화력발전소 등에서 내뿜는 유독성 오염물질이 지구촌을 덮고 있어 국제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중국과 국내의 황사 관측망을 확충한다고 하지만 광활한 황사 발원지에 비하면 아직도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중국과 북한에서 보내주는 관측 자료가 수준이 너무 낮다는 것과 황사 예보에 이용되는 모델이 황사 발원지의 입력 자료 부족으로 정확도가 높지 않은 것도 흠이다. ‘4.8 황사’가 네이멍구에서 만주·북한을 거쳐 남하했을 때 외국의 모델도 황사의 강도와 이동경로를 제대로 짚어내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황사 발원지의 환경과 기상이 매년 바뀔 때마다 예보 모델도 바뀌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히 황사 발원지가 멀리 떨어져 있어 기류 변화를 읽어 내는데도 역부족인 것이 현실이다.
지난달 중순 개최한 한·몽골 정상회담에서는 고비사막으로부터 발원하는 황사를 방지하고 사막화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몽골 내 조림사업에 10년간 144억원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황사에 대한 대책은 이제 겨우 걸음마 수준에 불과하지만 근원적이고도 장기적인 대책과 함께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대책들을 동시에 마련해 예상되는 피해를 줄여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