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F·세계은행 한국사무소 유치 국제도시 위상
기술력·개도국 진출업체 육성안하면 ‘그림의 떡’

 
일본 제1은행 인천지점으로 승격(1888년), 일본 제18은행 지점 개점(1890년), 일본 제58은행 지점 개점(1892년), 1899 일본 제1은행 인천지점 준공(1899년), 제1은행 인천지점→조선은행 인천지점(1911년), 조선식산은행 인천지점 개설(1919년).

일제가 개항(1883년)이후 국내 자본시장을 장악할 목적으로 인천에 세운 은행들이다. 일본은 1888년 제1은행 부산지점 인천출장소를 인천지점으로 승격시켰다. 1890년에는 일본인 나가사키(長崎)가 자본을 투입한 제58은행 인천지점이 개설됐다.

이 은행들은 쌀과 금괴를 일본으로 반출하는데 주력하면서도 산업자본과 토지매입자본 등으로 뒷돈을 대면서 일본의 경제침탈 조력자 역할을 했다.

한일합병(1910년)이후 인천은 산업화가 가파르게 진행됐다. 1910년 1천672만1천원(수출 405만5천원·1천266만6천만원)였던 인천항 무역액은 1937년 2억7천997만8천원(수출 9천260만6천원·수입 1억8천737만2천원)으로 17배가량 폭증했다.

1930년대에는 도시화도 속도를 냈다. 지금의 중구 관동·항동 일대에서 신포·답동·신흥동 일원으로, 동구는 화평동·송현동·송림동·금곡동 등지로 확대됐다.1932년 인천의 총면적은 6.05㎢였다. 그 중 대지가 약 31%, 농경지가 26%였다. 당시 인구는 6만8천여 명으로, 한국인이 81.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일본인은 16.5%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1인당 평균 토지소유 면적은 일본인이 236.6㎡로 한국인의 14.5㎡보다 17배나 넓었다. 1인당 평균 납세액도 일본인은 27.71원으로 한국인(1.45원)에 비해 19배나 많아 인천 경제를 장악하다시피 했다.

100여년이 지난 지금,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유엔(UN) 산하의 국제기구인 녹색기후기금(GCF)사무국이 2013년 12월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들어다. GCF 사무국은 자본금 규모가 1천억 달러 규모로 세계 3대 국제금융기구의 하나다.

GCF사무국은 최근 102억 달러의 초기 재원을 조성했다. 우리나라도 유치 당시 약속한 1억 달러에 대한 공여협정을 지난 6월 완료했고, 올해 말까지 2천500만 달러를 납입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독일·프랑스·영국 등 19개 국가가 기여계약에 서명했고, 이렇게 조성된 기금은 2018년까지 GCF 운영과 개도국 지원사업에 활용될 예정이다. 본격적인 사업선정을 앞둔 것이다.

 

자본금 규모가 1천937억 달러로 IMF(8천450억 달러)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세계은행의 한국사무소도 같은 시기 역시 송도국제도시에 입주했다. 이로써 인천은 저탄소, 기후회복력 도시의 이미지를 구축하먄서 8대 전략산업의 하나로 내세웠던 녹색금융의 틀을 갖추기 시작했다.

이제는 기후변화 대응 기술을 바탕으로 개도국에 진출할 녹색기업을 어떻게 키우는냐가 관건이다.

인천시의회는 청라소각장에서 배출되는 민간인의 이산화탄소 제거시설의 송도소각장 등에 확대 적용할 것을 인천시에 건의했다. 2012년 7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청라소각장에 설치해 실험가동한 결과 이산화탄소 제거효율이 우수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

인천시는 올해 이산화탄소 예상배출량(6천558만t)대비 16%를 줄인 5천534만3천t을 실제 배출하기로 계획했다. 또 2020년까지 예상배출량(7천829만6천t)의 30%를 감축한 5천480만7천t을 배출하기로 예고했다.

 

하지만 인천시측은 약품비용이 비싼데다가 이산화탄소 제거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석회)의 시멘트 및 벽돌 원료, 도로기층제 등 수요처 확보가 어려워 이 시설의 확대 적용이 어렵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하지만 이 이산화탄소 제거시설 설치업체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90억원의 R&D자금을 받아 청라소삭장보다 5배나 큰 규모(하루 50t급)시설을 영흥화력발전소에 설치하고, 실증연구에 들어갔다. 이 시설의 가동에 따른 이산화탄소 감축량은 영흥화력의 몫으로 돌아간다.

또 인천시가 미래 녹색산업의 허리로 꼽고 있는 서구 경서동 환경단지에 조성 중인 환경산업 실증화연구단지도 별반 업계에서 별반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 실증화연구단지는 기술개발에서 업체의 해외진출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위해 조성된다. 하지만 입주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업체는 20여군데에 불과한 실정이다.

정부는 1천560억원을 투입해 당초 환경연구단지 안 18만㎡에 실증화단지를 조성해 80여 곳의 환경업체를 입주시켜 키우기로 했다. 실증화단지를 통해 15년 동안 6조1천500억원의 부가가치와 3천150억원의 생산유발효과를 거둘 것으로 정부는 기대했다.

인천시는 녹색기후클러스터를 추진 중이다. 녹색기술을 발전시키고, 업체를 키워내지 않는 이상, 인천시가 전략산업으로 꼽은 녹색금융은 ‘남 좋은 일만 시키는 수단’으로 남을 수 밖에 없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