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원참 생각/박정환 기자]

한국산업관리공단의 기업이전 및 지방투자지원 시스템(COMIS)에는 지방이전 기업 58곳의 성공사례를 홈페이지에 소개하고 있다. 이중 두산인프라코어㈜와 ㈜OCI 등 인천과 관련된 사례를 들고 있다.

COMIS는 1937년 ‘조선기계제작소’라는 이름으로 인천시 동구에 설립된 두산인프라코어가 2008년 전북 군산으로 공장을 옮기면서 신입사원으로 2년만에 정상궤도에 올랐다는 얘기를 다루고 있다. 군산으로 공장을 옮긴 두산인프라코어의 2010년 매출액은 4조3천176억원, 4천515명을 고용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2006년 협약을 맺고 반도체 웨이퍼와 태양광발전소의 핵심 소재인 폴리실리콘 생산 공장을 군산산업단지에 세운 OCI 역시 성공사례로 꼽고 있다.

군산시가 물자비축기지용 터 13만3천㎡를 OCI 공장 부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조달청을 설득해 6만2천t 규모의 폴리실리콘 생산공장이 들어설 수 있었고, 총 투자 예상규모가 1조8천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을 곁들이고 있다. 여기에 폴리실리콘 증설투자로 2천여 명의 전북도민에게 새로운 일자리 창출 기회가 생겼다고 덧붙였다.

OCI는 사실 폴리실리콘 생산공장을 군산산업단지가 아니라 도시개발구역이 아닌 인천시 남구 학익동에 세우고자 했다. OCI의 모태가 이곳이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화학업종은 주변지역의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에서 폴리실리콘 생산공장 입지를 인천시가 거절했고, 그 자리에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하도록 했다.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지만 그때만 해도 제조업에 대한 인천시의 정책은 인색했다. 정부도 국가균형발전이라는 명목으로 지원금과 보조금 등 인센티브를 주며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을 부추겼다.

이 시점을 앞뒤로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탈인천 현상이 일어났다. 10년 전인 2004년에는 남동공단의 하이스틸 등 4개 기업이 충남과 충북, 강원도 등지로 공장을 옮기거나 신축했다.

2005년에는 알로에마임 등 7개 기업, 2006년에는 대주중공업 등 16개 기업, 2007년에는 선진정공 등 12개 기업, 2008년에는 대림통상 등 11개업, 2009년에는 유니드 등 11개 기업이 인천이 아닌 비수도권 지역에 공장을 짓거나 아예 빠져 나갔다.

한화그룹의 모기업인 ㈜한화(옛 한국화약)인천공장도 논현동 터를 도시개발사업을 하면서 2006년 충북 보은으로 이전했고, 삼익악기는 2011년 인천에 뒀던 본사를 충북 음성으로 옮겼다.

인천상공회의소는 지난 6·4지방선거를 앞둔 지난 4월 ‘민선 6기 지방자치단체장 공약을 위한 인천경제 주요 현안 과제’를 발표했었다. 2013년 말 기준으로 인천의 전입기업은 249개 업체, 전출기업은 321개 업체로 전출기업이 72개 많다는 요지였다. 그 중 제조업은 전입기업 108개 전출기업 153개로 나타나 제조업체의 이전비율이 높다고 인천상의측은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인천상의는 기업이 인천으로 복귀할 경우 조세감면과 보조금(입지·설비)의 혜택이 없어 비수도권에 역차별을 받고 있으니 지방과 동일한 세제 및 정책지원을 건의했다.

인천시의회는 14일 용현·학익지구 도시개발사업자인 OCI계열사인 DCRE 체납액 징수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좀 더 앞을 내다보는 정책을 폈더라면 이런 토론회는 없었을 일이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