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김영삼 정부가 출범하면서 불어 닥친 ‘세계화’ 코드에 맞춰 인천지역 지자체에서도 해외여행 붐이 일었다.

당시에는 외국과의 교류보다도 ‘관광도 지식을 쌓아가는 길’이라는 여론이 주류를 이루면서 엄청난 예산으로 해외나들이길에 나섰다.

이러한 분위기를 타고 각 지자체들도 앞 다퉈 세계 각 도시들과 자매나 우호결연을 맺어왔다.

인천시는 톈진(天津)시 등을 중심으로 4개 중국 연안도시, 산둥(山東)성 등과 결연을 맺으면서 교류를 강화했다.

톈진시에 인천사무소를 개설하고, 단둥에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등 대중국 진출을 위한 투자도 잇따랐다.

그러나 감사원 지적으로 인천사무소가 폐쇄되고, 1998년에 완공된 인천단둥산업단지 분양이 지지부진하면서 중국에 대한 관심도가 급격히 떨어졌다.

교류 초기만 해도 중국 도시들은 한국 진출의 교두보가 인천이라 판단하고 적극적 공세를 폈다.

대도시 단체장들은 경제계 인사들을 인천으로 끌고 와 투자설명회를 여는 등 외자유치에 열을 올리면서 교류강화를 요구해왔다.

이런 분위기를 틈타 부평, 중구, 남구, 동구, 서구 등 기초단체들과 연안도시 해당 구와 자매결연이나 우호협약을 맺으면서 중국과의 교류를 시작했다.

그러나 1997년 11월 IMF관리체제로 인해 각 지자체들의 국제협력 관련예산이 크게 줄면서 국제교류도 시들해졌다.

미국, 캐나다 등 여행경비가 많이 드는 지역과의 교류는 급감한 반면 중국과의 교류는 그나마 명맥을 유지할 정도였다.

2000년들어서 중국이 생산기지이자 세계 소비시장으로 급부상하면서 국내 경제의 대중국 의존도가 더욱 높아지게 되자 지자체들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시도 그간의 교류협력관계를 평가하고, 실질적인 교류협력관계를 구축하기위한 전략을 준비 중이다.

각 기초단체들도 산둥성과 랴오닝(遼寧)성 등 연안도시를 중심으로 맺어왔던 교류지역의 폭을 저장(浙江)성 등지로 넓혀가고 있다.

각 지자체들의 이 같은 대중국 교류확대를 놓고 전문가들은 과거에 실패했던 것을 답습하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남구는 베이징(北京)시 밀운현과 5~6년 동안 지속적으로 교류를 해왔지만 상호방문 등 초기단계의 교류를 뛰어넘지 못해 자매결연을 맺고도 교류가 중단된 상태다.

1998년 랴오닝성 둥항시와 자매결연을 맺은 서구도 2001년 이후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중국 도시들도 인천지역 기관들과 교류에서 실익이 없자 적게는 3~4개에서 많게는 10여개가 넘는 타 지역 단체들과 중복으로 우호협력을 맺으면서 저울질을 하고 있다.

지자체들이 인적교류에서 경제교류 등으로 새로운 교류모델을 개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자치단체장의 국제교류 마인드도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으로 대두됐다.

시의 경우 담당 부서를 국제통상국에서 국제협력관실로 개편하면서 국제교류가 통상개념에서 의전으로 변질됐다는 시각도 만만찮다.

인천지역 경제계 한 인사는 “지역에는 중국과의 교류에서 선점할 수 있는 인력과 단체들이 많은 만큼 충분히 활용할 여지가 있다”면서 “각 지자체들이 해당 공무원만 활용하지 말고 외부 전문 인력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범진기자 bjpaik@i-today.co.kr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