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벌써부터 2014 아시안게임 체육시설 건립을 위한 재정확보에 고심하고 있다. 이래저래 시민부담을 늘려야 하니 인천시로선 고민되지 않을 수 없다.

지난 15일 인천시청에서 열린 ‘2014 인천 아시안게임 시설 관련 보고회’도 경기장과 선수촌 등의 건립을 위한 지원법 제정과 재정마련에 초점을 맞췄으나 논의에만 그쳤다고 한다.

경기장을 지어놓고 아시안게임이 끝난 후 제대로 활용을 하지 못하면 관리비용만 엄청나게 들어가기 때문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것은 당연지사다.

인천 아시안게임의 37개 종목을 치르기 위해선 실내경기장 21개, 실외경기장 19개 등 모두 40개 경기장이 필요하다. 문학경기장과 삼산월드체육관, 문학야구장, 서운체육공원 등 9곳의 경기장을 제외하면 최대 31개 경기장을 새로 지어야 하는 셈이다.

인천시는 이러한 경기장 시설과 선수촌 아파트, 도시와 관광 인프라를 위해 5조원 가량의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물론 체육시설의 30%는 국고지원을 받더라도 나머지 상당부분은 시가 부담해야 한다는 얘기다.

인천시가 부담해야 하는 것은 곧 시민들이 그 짐을 떠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시민들이 낸 세금으로 짓는 경기장 시설의 사후 활용 방안이 중요한 것은 그 때문이다.

인천시는 문학경기장 인근 그린벨트를 해제해 일부 경기장과 선수촌 아파트를 짓고, 지방채 발행의 한도를 높이는 것을 복안으로 삼겠다는 모양이다.

그러나 그린벨트에 아파트를 건립해 분양하겠다는 계획은 건설교통부의 개발제한구역 해제 허가가 선결과제이므로 불투명하고, 지방채 발행은 인천시민의 몫으로 돌아오는 만큼 남발해서는 안된다.

지난 월드컵에서 보듯, 예선 3경기를 치른 문학경기장은 매년 20억여원의 적자를 보고 있다. 그 적자는 시민들의 세금으로 충당된다.인천시가 아시안게임 3~6개 종목의 경기를 서울과, 경기도, 충남 등지의 도움을 받아 분산 개최한다 해도 상당수 경기장의 신축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따라서 새로 짓는 경기장의 장기적 활용방안을 사전에 철저히 연구해 계획단계에서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아시안게임 이후 경기장이 단순히 지역주민을 위한 생활체육 등으로 전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문학경기장처럼 시민혈세가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을 수 있도록 인천시의 꼼꼼한 대책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