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동해항 석탄부두 건설 불투명... 남항 석탄부두 이전 빨간불

남항 석탄부두 전경. ⓒ인천녹색연합

 

인천 남항에 위치한 석탄부두의 이전이 불투명해지자 지역 환경단체가 이를 폐쇄해야 한다는 논평을 냈다.

인천녹색연합은 7일 성명을 내고 “신규 석탄부두 계획 여부와 무관하게 기후위기 시대에 석탄산업 시설을 폐쇄해야 하며 그간 석탄부두로 인해 미세먼지, 소음 등에 시달리고 바다를 빼앗긴 시민들이 바다를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항의 석탄부두는 수입한 석탄을 수도권을 비롯해 경기도는 물론 강원과 충북, 경북, 전북 등의 지방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그 과정에서 야적 및 운반을 하며 발생되는 석탄가루나 미세먼지 피해 등을 시민들이 감내할 수밖에 없었다.

환경적인 민원이 이어지던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는 ‘제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을 통해 남항 석탄부두 기능을 폐쇄하고 동해항으로 이전하는 계획을 담았다. 한 민간사업자가 강원도 동해항 석탄부두 건설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전이 타진됐던 것.

그러나 이 민간사업자가 최종적으로 석탄부두 건설을 포기하면서 남항의 석탄부두 이전은 현재로선 불투명해졌다.

인천녹색연합은 “기후위기 시대를 살아가는 만큼 인천항만공사가 부두 폐쇄계획을 구체화하고, 여기에 인천시는 인천 해양친수도시조성 기본계획을 비롯한 인천도시기본계획에 부지를 공원화하는 등의 공간계획을 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세계 온실가스 발생의 37%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석탄발전은 그 이면에 기후위기의 주범으로 지목되어 세계적으로 퇴출 추세를 밟고 있다. 또 국내에서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강조되면서 금융권이 기후위기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업에 대출을 지양하고 있는 상황이다.

동해항 석탄부두를 추진하려던 민간사업자의 사업 포기 이유 중에도 이런 이유들로 인한 어려움이 중첩됐다는 것이 환경 관련 운동가들의 분석이다.

인천녹색연합은 “인천시가 지난 4월, 2030년까지 시민들이 바다를 친근하게 접할 수 있도록 ‘2030 인천 바다이음’ 사업내용을 담은 ‘인천 해양친수도시조성 기본계획’을 수립했는데, 이를 통해 닫힌 바다를 열린 공간으로 개방하고 미래세대와 잇는 보전 등을 주요 목표로 삼은 만큼 항만시설부지 활용 계획에도 적극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관리주체인 인천항만공사와 해양수산부에 대해서는 “남항 일대 미세먼지와 기후위기 주범인 석탄부두 폐쇄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 실행하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에서 석탄은 호주, 인도네시아, 중국, 러시아 등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인천을 비롯해 광양, 태안, 포항, 하동, 삼천포, 대산, 보령 등에서 석탄이 취급되고 있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