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교사들 “교사들끼리도 분위기 민감하다, 시기상조” 의견

 

코로나19 창궐로 인해 중단됐다가 조금씩 재개되기 시작한 ‘방과후학교’에 일선 학교들이 적극 참여해달라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다만 코로나19가 아직 종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러한 요구가 ‘시기상조’라는 의견도 교육계 내에서는 상당하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방과후강사노동조합(이하 방과후강사조합)은 6일 인천시교육청을 비롯해 서울, 경기도 등 수도권의 시·도 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방과후학교 미운영으로 학교의 역할이 작아지면 이는 결국 학부모와 자녀의 피해”라고 주장했다.

방과후학교 수업이 전면 타격을 받은 이유는 지난해 2월부터 급격히 창궐한 코로나19의 영향 탓이다. 당시 수도권 전역의 방과후학교는 전면 중지됐고 이후 부분적으로 재개됐으나 현재까지 방과후학교를 정상적으로 운영하는 수도권 내 일선 학교의 비율은 20.8%라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물론 나머지 학교 중 일부가 비대면으로 방과후 수업을 일부 운영하고는 있지만, 아예 운영을 하지 않는 학교들도 많은 실정이다. 코로나19의 재창궐 가능성을 인식한 탓이다.

그러나 방과후강사조합은 “올해 들어 수도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방과후학교를 운영하고 있고 수도권의 시·도 교육청도 방과후수업 재개를 권장하고 있으나, 단위 학교의 운영 여부는 학교장 재량이라는 이유로 방과후학교 운영을 거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초등학교의 경우 올해부터 1,2학년은 전면 등교하고 있고, 3~6학년은 여전히 부분 등교를 하고 있다. 이에 맞벌이 등을 하는 가정의 경우 수업 공백 등 이유로 사교육으로 진출 빈도가 높고, 일각에서는 이런 이유로 사교육이 불가능한 저소득층 자녀들의 학력격차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물론 교육부가 학습 격차 해소 방안으로 방과후 프로그램 운영을 활성화하겠다는 발표가 있었는데, 전면 등교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방과후학교를 운영하지 않겠다는 수도권 학교들이 많아 실효성에 의문이 있다는 것이 방과후강사조합 측 주장이다.

방과후학교 운영과 관련해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은 그 전년에 비해 11.8% 줄었고 같은 기간 방과후 프로그램 총액은 5,312억원에서 309억원으로 94.2%가 축소됐다. 반면 1인당 사교육비는 2019년보다 4.4%(41만 8천 원에서 43만 6천 원) 오히려 증가했다.

방과후강사조합 측 관계자는 “방과후학교의 운영에 대한 결정은 반드시 학부모 수요도 조사를 거쳐야 하지만 노조가 자체 조사를 한 바로는 학교가 임의로 결정하는 경우가 47.3%나 나왔다”며 “교장 한 사람의 성향에 따라 방과후학교 운영 여부가 결정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방과후강사조합 측이 각 시·도 교육청에 요구하는 사항은 ▲수도권 일선 학교의 비대면 수업 중단 및 대면 수업 확대 ▲방과후 프로그램 운영 즉시 활성화 ▲초등학교 1~2학년 수업의 우선 전면 운영 ▲교육 불평등에 대한 전면적 각성 등이다.

실제 방과후학교를 도입한 후 활성화시키면서 코로나19 확산 이전까지 교육계에 좋은 영향이 많았던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코로나19 시국을 맞이하고 그 일선에 있는 학교 교사들은 정작 방과후강사조합 측 주장에 반대하는 분위기도 많다. 감염확산 위험이 아직까지는 높다는 결정적인 이유 때문이다.

인천 관내 한 일선 학교 교사는 “학교를 운영하는 관리자와 방과후강사의 입장은 분명히 다를 수밖에 없고, 일선 학교들이 코로나19 방역에 촉각을 세우면서 교사들끼리도 아주 민감한 상태”라며 “단 한 명이라도 확진자가 나오면 전교생과 교직원의 코로나 검사와 자가격리 뿐 아니라 인근학교까지 파장이 커지는 상태에서 방과후강사들의 입장만 주장하는 것으로 보이는 기자회견에는 일선 학교 교사로서 공감을 하기가 매우 힘들다”고 의견을 밝혔다.

다른 교사는 “코로나19 이후 방과후교사들의 배고파진 현실을 이해하면서도, 학부모들의 교류가 잦은 일선 초등학교에서는 여러 민감한 문제들에 대한 감안도 분명히 되기는 해야 한다”면서 “가장 좋은 방법은 학교가 좀 수고스럽더라도 방과후강사를 관리하는 전담교사를 확보하고 그들을 통해 강좌가 단계적으로 운영되게끔 하는 게 어떨까 싶다”고 말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