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은 여타 지역에 비해 사업장이 밀집돼 있는 산업단지가 많은 도시다. 때문에 산업재해도 다발하고 있다. 산재 감소를 위한 각별한 산업안전 대책이 요청되고 있다.

인천지역 각종 사업장에서 사망재해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는 보도다. 보도에 따르면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집계결과 올해 인천지역 76만9천여명의 근로자 가운데 재해 사망자 수는 48명으로(8월5일 현재) 전년 동기 32명이던 것에 비해 16명이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한다. 인천지역의 재해 사망자수가 증가한 반면 전국 수치는 전년 동기대비 감소했다. 인천지역 산재감소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산재발생 후 원인을 분석해보면 조금만 주의를 기울였어도 얼마든지 예방 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작업 전 안전조치 미점검, 안전보호구 미착용과 과도한 업무지시 등이 그것이라 한다. 업종별로는 산재가 빈발하는 건설업에서는 추락이, 제조업에서는 협착에 의한 사고가 가장 많았다한다. 노동당국도 산재 증가 주요 원인으로 ‘안전불감증’을 꼽았듯이 산업재해가 다발한다는 것은 사업장에서 사업주와 근로자들의 안전의식이 결여돼 있다는 것이다.

아무리 경제가 발전하여 국민소득이 높아가도 근로자들의 산재위에 쌓아진 것이라면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다. 노동당국의 지속적인 산재예방 지도감독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감독에는 한계가 있다. 가장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것은 사업주의 산재예방을 위한 과감한 투자와 근로자의 철저한 안전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하겠다.

인간의 궁극목표는 행복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생활을 하는데 있다하겠다. 헌법도 제34조에서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사회보장·사회복지의 증진에 노력할 의무를 진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한국은 여전히 ‘산재왕국’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산업재해는 재해자 본인은 말할 것도 없고 한 가정이 불행에 빠진다. 기업 또한 마찬가지라 하겠다. 나아가 국가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산재는 사업장에서 영원히 추방되어야 한다. 산재 없는 사업장 조성이야말로 우리의 이상이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