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화된 세계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우리나라 국제선 항공여객은 4,265만명으로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동북아 허브공항을 자임하고 있는 인천공항의 국제여객은 전년대비 4.8% 증가한 3,435만명, 환승수요 또한 전년대비 9.0% 증가한 566만명을 기록해 개항 이래 최고치를 달성했다.

올해만 해도 상반기 이용객수가 이미 1,800만명을 넘어서고, 금년도에는 특히 런던올림픽 특수까지 겹쳐 연 이용객수는 지난해보다 11% 가량 늘어난 3,8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 주말에는 하루 이용객수만 12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되기도 했다.

이같은 추세라면, 인천공항은 3단계 확장공사가 마무리되는 2017년 이전에 이미 국제여객수요가 4,400만명을 넘어서고, 3단계 확장에 따른 6,200만명 처리능력도 불과 5년후인 2022년에는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는 현실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토해양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는 당초 3단계 공사 착공계획을 2011년에서 2013년으로, 완공일자를 2015년에서 2017년으로 각각 연기한 바 있다.

3단계 사업에서 계류장과 도로를 2017년 6월에, 여객터미널을 7월에 각각 확장 개장하고, 최종적으로 2017년 이후 1억명 처리규모를 목표로 하는 4단계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있다고 하지만, 동경 하네다, 상해 푸동, 북경 수도공항 등 주변공항과의 허브화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인천공항에 대한 선택과 집중, 조기투자가 시급한 실정이다.

주변국과의 무한경쟁 상황을 놓고 보면 한시가 급한 상황임을 부인할 수 없다. 한때 논란이 되었지만, 동남권 공항이니 남부권 공항이니 지역이기주의 논쟁을 하고 있을 겨를이 없다. 날로 심화되는 허브화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국가정책 차원에서 선택과 집중이 반드시 필요하다.

여기에, 인천공항이 위치한 영종지역을 무비자, 무관세 지역으로 지정하거나 환승이용객 등의 편의를 제고하는 방향으로 비자제도를 개선해 수요를 유치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해 볼 만 하다.

비즈니스 라인이나 관광수요가 집중되고 있는 주변국 중국이나 일본의 여객수요가 절대적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일본에 이어 중국과도 무비자협정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법무부가 오는 6일부터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하는 중국인 관광객에 한해 도착비자제도를 운영하겠다고 하지만, 단계적으로 중국인 관광객, 그리고 영종지역 전체를 무비자 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인천공항을 기반으로 하는 영종지역은 그 지리적 특성상 출입국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에어시티 조성 등 국제비지니스 도시로의 성장잠재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지역이다.

경제자유구역인 영종지역에 투자유치를 활성화하고, 이 지역을 명실상부한 국제자유도시로 키워내기 위해서는 무비자 지역을 전제로 이민과 투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필자는 이런 차원에서 지난 4월 총선에 ‘무비자-무관세 지역 지정, 국제컨벤션단지 조성 등을 통한 영종 국제자유도시 건설’을 중점공약으로 제시한 바도 있지만, 오는 18일 인천국제공항공사 강당에서 ‘투자유치 및 개발촉진을 위한 영종지역 비자제도 개선방안’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논의할 예정이다.

인천공항은 국가의 기간 SOC 인프라일 뿐만 아니라, 우리 경제의 중요한 자산이다. 경제자유구역인 영종지역 또한 우리 경제의 중요한 미래성장동력이다. 인천공항과 영종 경제자유구역의 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신중하면서도 획기적인 정책결정이 요구된다.

박상은  국회의원(새누리당·인천 중동옹진)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