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훈

가천의대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작년 한국인 암 발생순위 20위권 진입

방사성·화학물질 등 발병 원인 추정

조기진단·완치 어려운 무서운 질병

조혈모세포 자가 이식 등 표준요법

최근 20년 간 발병 환자가 10배 증가한 암이 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산발적으로 발병이 보고되는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한국인 암 발생 순위 20위권 진입했을 만큼 증가세가 무섭다.
혈액암의 일종인 다발성 골수종은 정확한 발병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방사성 물질이나 농약, 살충제와 같은 화학물질, 유전적 요소 등을 발병 요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최근 20년 간 발병 환자가 10배 가까이 증가했다는 점도 이 질환이 사회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뒷받침한다. 특히 방사능과 고엽제(다이옥신) 유출로 인한 후유증으로 다발성골수종이 발병할 가능성이 있어 어느 때 보다 다발성골수종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다른 암종에 비해 아직까지 생소하게 느껴지는 ‘다발성골수종’은 어떤 병일까. 혈액암 하면 흔히 백혈병을 생각하지만 실제로 치료 중인 환자 수는 다발성골수종이 더 많다. 국내에서는 과거에만해도 비교적 드문 질환이었지만 급격한 산업화가 평균 수명의 증가로 최근 20년 동안 10배 증가했다. 과거 추이를 분석하면 2011년에는 약 1138명의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 다발성골수종 치료를 받는 환자는 약 4천~5천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다발성골수종은 종양이 뼈를 침범해 뼈를 녹이거나, 잘 부러지게 만드는 무서운 질환이다. 뼈를 침범하기 때문에 뼈의 통증이나 골절 등 정형외과적 문제나 신부전, 신백뇨 등 신장질환으로 나타나 조기 진단이 어렵다. 원인이 불명확한 만성질환이기 때문에 완치가 어렵고, 치료를 통한 상태 호전이나 유지를 기대할 수 있다. 과거에는 발병 후 생존기간이 3년 정도로 예후가 불량했지만, 최근 10년 간 한국을 중심으로 아시아권 국가에서도 치료 성적이 크게 향상돼 생존율이 2배 이상 향상됐고, 장기 생존자도 늘어나고 있다.

다발성골수종은 혈청 또는 소변검사를 통해 혈액내 M단백이라는 물질이 얼마나 존재하는지로 측정할 수 있다. M단백이 3g/dL 이상, 혹은 골수 내 형질세포가 10% 이상이거나, 조직검사에서 형질세포 종양의 존재 여부 등이 복합적으로 판단돼 다발성골수종을 진단할 수 있다. 혈액 내 M단백 양이 적고, 골수 내 암세포가 10% 이하이면서 특별한 증상이 없는 MGUS가 증가하고 있는데, MGUS는 매년 1%만 다발성 골수종으로 진행하므로 치료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MGUS의 단계를 지나서, 다발성골수종의 진단기준은 만족시키지만 고칼슘혈증, 신장기능 이상, 빈혈, 뼈 병변 등의 증상이 없는 경우는 무증상골수종(SMM)이라고 하며 이또한 치료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SMM의 약 10%가 치료가 필요한 다발성골수종으로 진행되는데 최근에는 고위험 SMM 환자를 조기에 치료하자는 움직임이 있다.  

다발성골수종의 치료는 크게 1960년대에 시작된 항암화학요법과 1990년대부터 활발히 연구된 조혈모세포이식, 2000년대 들어 소개된 표적치료제 등으로 변화해 왔다. 1958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치료약 멜팔란은 아직까지도 중요한 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멜팔란은 특히 65세 이하에서 고용량 화학요법이나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전에 전처치 요법으로 쓰인다.

65세 이하 환자에게는 고용량 화학요법과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자가이식)이 표준요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최근 이슈 가운데 하나는 2회 연속 자가이식이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되겠느냐 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2회 연속 자가이식은 모든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치료 전 M단백 수치와 비교해 1차 이식 후 M단백이 10% 이하로 남은 예에 관해서만 좋은 결과를 낳았다. 2회 이식을 시행한 경우 이식 후 7년 무진행 생존율은 20% 이하로 완치를 목표로 한 치료와는 거리가 있다.

일반적으로 자가이식만으로 다발성골수종이 완치되지는 않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아칸소 주립대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2회 자가이식을 포함해 적극적으로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의 10~15%가 완치 혹은 완치에 가까운 상태를 보인다는 보고가 있어 환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소개된 표적치료제에 의한 치료는 다발성골수종의 치료 성적을 향상 시켰다. 표적치료제의 활용으로 과거에는 조혈모세포이식으로만 가능했던 완전 관해가 약물치료만으로도 가능하게 됐다. 표적치료제는 전통적인 항암화학요법이나 조혈모세포 이식 치료로서는 성적이 불량한 염색체 등에서도 효과적이어서 고령이나 고위험군 환자에서도 안전하고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