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다시 보는 경인아라뱃길 <하>인천터미널 실효성 있나

경인아라뱃길은 낙후된 서북부지역의 발전 동력으로 여겨졌다. 홍수피해에다 개발제한구역이란 규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배어 있었다.

찬반 논란이 거듭될수록 구불구불한 임시가교(귤현교 등)를 이용해야 하는 주민들의 불편이 가중되면서 찬성론에 힘이 실린 게 사실이다.

하지만 아라뱃길 추진에 따라 건립되고 있는 서구 시천교, 계양구 귤현교 등은 인천공항철도(검암·계양역)에 대한 접근성을 저해시키는 탓에 교통체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지난 3월 주민피해대책위가 다시 구성됐던 이유다.

또 벌말지역에 야기되는 피해 보상 등 뚜렷한 대책도 없었다. 서구청은 수용으로 인해 보상을 받은 주민들 가운데 80%가 서울 등 외지인이라는 사실에 놀라기도 했다.

아라뱃길의 물류 기능 외에 수자원공사는 관광·레저까지 표방했으나 인천과 김포의 터미널을 비교해보면 이 역시 말짱 ‘도루묵’이라는 지적이다.

서구 경서동과 김포시 고촌에 조성되는 터미널의 면적은 각각 280만㎡, 198만㎡다.

터미널에 딸린 물류단지계획을 보면 김포가 레저와 물류 기능을 조합해 주민 친화도를 높인 반면 인천은 철저하게 물류 중심으로만 추진되고 있다.

86만8천810㎡의 김포 고촌 물류단지는 ▲물류시설 36만746㎡(41.51%) ▲지원시설 15만3천281㎡(17.65%) ▲공공시설 35만4천783㎡(40.84%) 등으로 토지이용계획이 수립됐다.

전호교를 사이에 두고 남쪽엔 모래부두, 컨테이너부두 등 물류 시설을 그리고 북쪽엔 마리나를 비롯해 숙박, 문화, 위락, 판매·업무 시설 등이 다양하게 배치된다.

116만2천㎡의 인천터미널 물류단지는 ▲물류시설 52만7천6㎡(45.4%) ▲지원시설 20만3천627㎡(17.5%) ▲공공시설 43만1천367㎡(37.1%) 등으로 계획됐다. 물류터미널, 집배송·창고시설, 컨테이너 야적장, 가공 및 제조시설, 상류시설(자동차 매매단지), 판매·업무 시설이 주를 이룬다. 인천터미널에서 문화와 레저를 기대하기는 힘들다는 얘기다.

물류단지 면적 100만㎡ 이상은 국토해양부, 그 이하는 시·도지사가 인허가권을 갖는다는 ‘물류시설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 때문에 인천시와 서구청이 제안했던 각종 친수 콘셉트의 문화시설은 도입될 수 없었다.

시는 인천터미널의 해수부두로 인해 청라지구 입주민들의 장기 민원이 제기될 것이라고 예고한 가운데 수자원공사는 인천터미널의 2단계 계획에는 마리나가 추진될 것이란 입장이다. 그러나 물류단지의 분양 여부, 하역에 따른 수익이 담보될 경우에나 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아라뱃길의 추진 근거가 됐던 비용대비 편익(B/C)은 1.07이다.

한편 송영길 인천시장 당선자와 인천시의회는 취임과 동시에 검증위원회와 특별위원회 등을 구성해 물류 가능성, 홍수 피해, 주변 개발 등 주민 실익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