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가 주민들과 공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 것이 가장 큰 과제입니다.”

수도권매립지 주민지원협의체 양원규(53) 위원장은 매립지의 산증인이다. 매립지가 처음 들어올 당시 극심한 반대도 많았지만, 이젠 지역의 소중한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때라는 게 그의 입장이다.

김포 양촌면 대포리에서만 23대째 살고 있는 그는 지난 2005년부터 협의체 위원장을 맡고 있다. 협의체의 위상이나 역할 등에 대한 변신을 시도하는 데 초석을 놓아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한다.

“그 동안 검단 지역에만 3천∼4천억원이란 돈이 뿌려졌습니다. 소비성으로 없어진 측면도 있었고, 비리도 불거지면서 싸늘한 시선을 받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주민지원기금의 활용을 달리해야 한다는 이유다. 주민들에게 막대한 돈이 집행되면서 무엇보다 영향권 설정에 따른 주민들 간 갈등 만큼은 해소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2007년부터 협의체가 공동사업에 심혈을 기울이기 시작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와 관련한 용역도 시행했고, 그 결과에 따라 협의체를 재단으로 전환한다는 방안이다. 이렇게 되면 노인복지요양시설이나 유아·탁아관련 사업을 할 수 있을 것이란 판단이다.

그 동안 위원들만 특혜를 본다는 시선도 있었는데, 공사와의 소통을 통해 이젠 ‘지역’으로 눈을 돌리자는 것이다.

양 위원장은 변모하는 검단 지역에 대해서 주목했다. 각종 구획정리사업과 신도시 지정 등 검단은 미래를 위한 발빠른 행보를 하고 있는데, 행정기관의 정책이 이에 부응하는지 의문된다. 협의체도 이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파트가 늘어가면서 입주민들의 핵가족화와 맞벌이 현상이 불가피한데 이에 따른 노인문제와 자녀 보육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때야말로 도시는 자족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매립지로 인한 환경적 문제에만 치중할 게 아니라 이젠 검단 주민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을 어떻게 이룰까 하는 게 그의 관심사다.

‘검단 지역은 하나’라는 생각이다. 매립지에 따른 영향권과 비영향권으로 검단을 분류하지 말자는 말이다.

협의체가 9∼10년차 연혁을 가지게 되면서 전문성을 더욱 높여야 한다는 판단에 따라 각종 교육과 세미나 등을 기획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특히 지역의 학생들에게 매립장을 교육의 장소로도 활용해야 한다는 구상도 했다.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매립장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는 후대세대가 더 잘 알아야 한다는 이유다.

양 위원장은 “지역의 학생들에게 매립지 견학 등 실질적인 교육이 정례화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으로 정착시킨다면 환경 뿐만 아니라 지역 등 정체성까지 공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문기자 asyou218@i-today.co.kr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