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의 임금 근로자 중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국 평균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 안정성이 떨어지는 지역 기업체들이 비정규직 고용을 선호하고 있고, 대규모 사업장 이전이나 제조업체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용 불안과 저임금 등 열악한 노동조건에 시달리는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정부가 ‘노동시장 유연성 확대’를 기조로 규제 완화에 초점을 맞추다보니 전문가들은 지역 고용시장이 더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31일 통계청의 ‘전국 16개 시·도별 비정규직 규모’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인천지역의 임금 근로자 93만명 가운데 35.0%인 32만6천명이 비정규직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시세가 비슷한 대구(31.8%)나 부산(33.0%)은 물론 전국 평균인 33.4%보다 높은 수치다. <표참조>

또 경인지방통계청의 ‘인천시 고용동향’을 살펴보면, 지난 4월 기준 경제활동인구 135만명 중 28.0%인 36만2천명이 임시직 근로자였고, 9.5%인 12만4천명이 일용직 근로자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전국의 임시직 근로자 비율은 21.4%, 일용직 근로자 비율은 8.8%에 불과했다. 더구나 상용직 근로자의 경우 인천지역은 36.8%로 전국 평균인 39.2%보다 2.4%p 낮았고, 자영업자 비율도 전국 평균인 24.5%보다 2.6%p 적은 21.9%를 기록했다.

상용직 근로자나 자영업자에 비해 임시·일용직 근로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그 만큼 고용시장이 불안정한 셈이다.

인천경영자총협회 이주용 전문위원은 “지역에 안정적인 기업체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경영에 대해 확신을 갖지 못하는 기업주들은 한시적인 일자리만을 만들 수밖에 없다”며 “동일레나운이 타 지역으로 이전하는 등 대규모 사업장이 지역을 등지고 있고, 자연스레 정통 제조업체 수도 감소하고 있다. 결국 제조업체 근로자들은 비정규직 비율이 비교적 높은 서비스직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높은 비정규직 비율 문제에 대해 무관심한 것도 이를 부채질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인천지역일반노동조합 성미라 사무국장은 “인천시가 공공기관의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무기계약으로 전환하라는 정부의 방침에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비정규직 문제에 얼마나 무관심한지 알 수 있다”며 “정부의 고용정책을 지자체가 아무런 문제 의식없이 모두 수용하는 것도 잘못이다.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확대하는 정책은 비정규직을 늘리겠다는 것이며, 청년 인턴제 또한 질이 낮고 한시적인 일자리를 늘리는 것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환직기자 slamhj@i-today.co.kr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