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과 코미디, 판타지의 장르를 마음대로 넘나든다.

배우들의 1인 다역과 느닷없는 등장 인물들의 독백들로 영화의 관습은 깡그리 무시한다.

영화는 내내 만화적 상상력으로 채색돼 있다.

대중영화를 표방하면서도 결코 대중적이지 않은 지점을 목표로 함으로써 흥행 여부에 큰 관심이 모아졌던 이재용 감독의 ‘다세포 소녀’가 예상과 달리 극장가 연착륙하는데 성공했다.

지난 주 개봉된 이 영화는 상영 첫주 전국 35만 관객을 모으며 조용한 인기몰이에 나서고 있다.

전국 천만 관객을 향해 가고 있는 ‘괴물’의 돌풍을 고려하면 크게 선전하고 있는 것이라는 평가. ‘정사’와 ‘스캔들-조선남녀상열지사’ 등 정갈하고 모던한 분위기의 영화로 정평이 나있는 이재용 감독은 이번 영화로 자신이 다른 무늬와 결을 함께 지니고 있는 작가라는 점을 입증했다.

개봉 직후 이재용 감독을 만났다.

-이 영화는 원래 인터넷 만화가 원작이다.

▲원래는 다른 작품을 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처음 만화를 봤을 때 제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국에서도 이런 이야기가 만들어지는구나 하는. 한마디로 신선한 충격이었다.

무엇보다 정치적으로 올바르려고 하는 강박관념이 없어서 좋았다.

영화속 캐릭터인 ‘가난 소녀’는 가난해서 원조교제를 하지만 그렇다고 불쌍하게 그려지지는 않는다.

또 다른 인물인 ‘입양아’ 역시 불쌍해야한다는 고정관념 같은 것이 없다.

만화 같은 캐릭터 ‘외눈박이’의 경우 괴물은 악인이어야 한다는 생각이 없었다.

그래서 일종의 해방감같은 게 느껴졌다고나 할까?

-하지만 문제는 그런 원작의 느낌을 영화적으로 어떻게 살리느냐였을 것이다.

▲만화의 느낌을 영화처럼 보이게 하기 위한 강박관념, 바로 그 것으로부터 먼저 벗어나길 바랬다.

만화를 영화화하는 절차와 과정 등이 중요치 않은 영화로 만들려고 했다.

그래서 시나리오 쓸 때는 오히려 매우 즐거웠다.

무의식적으로 생각나는 것들을 막 적어 나갔으니까. 처음에는 영화 형식을 아예 틀어버리려고 생각했다.

갑자기 배우들이 카메라 앞에서 연기하다 말고 감독에게 말을 건다든지, 붐 마이크가 카메라에 잡힌다든지 하는 설정도 있었다.

한마디로 이런 식으로도 영화를 만들 수 있느냐고 묻는 질문이 많았으면 했다.

-성적 표현수위가 만만치 않다. SM이 오가는 사제지간, 복장도착, 트랜스 젠더 등등.

▲물론 그렇긴 하지만, 오히려 노골적이지 않다.

나는 민망한 소재들을 민망하지 않고 또 즐겁게 보기를 원했다.

만화자체도 ‘19금’을 내세우고 있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작가의 농담이다. 내 영화도 그런 부분을 농담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영화속 배경인 ‘무쓸모 고등학교’의 공간은 사회적으로 확장된다. 영화 곳곳에 그렇게 다층적 의미를 심어놓았다.

▲영화가 다층적, 다의적 의미를 갖는 것은 내 영화 스타일 중 하나다.

농담 같은 진담들을 매설해 영화가 풍성한 의미를 내포하기를 바랬다.

그런 면에서는 다세포 소녀는 사회부적응자를 통해 획일화된 사회의 모습을 은유하고 풍자하는 작품이다.”

오동진 영화전문기자 ohdjin@hotmail.com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