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진회’라는 폭력서클이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된 것이 불과 몇 년 전이다. 당시 교육당국은 학교 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앞다퉈 내놓았고, 국회도 학교 폭력 예방교육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은 ‘학교 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마련하기도 했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 학교 폭력은 사라지지 않았다. 일진회라는 폭력서클도 이름을 바꿔 여전히 존재한다. 최근 충남과 경북의 일부 교복판매점에서 학생들을 고용해 다른 학생이나 후배에게 교복을 강매시킨 사건에서도 ‘일진회’가 등장한다.

교육당국의 학교 폭력 예방책과 관련 법 개정안 마련에도 불구하고 인천지역에서 폭력을 휘둘러 징계 등을 받은 학생은 지난 2006년 151명에서 지난 2007년 271명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상반기만 해도 121명에 달했다. 이들 학생은 다른 학생들에게 신체적인 폭력을 가하거나 집단으로 따돌리는 등 신체·정신적인 폭력을 휘둘렀다.

피해 학생도 2006년 142명에서 2007년 190명으로 늘었고, 2008년 상반기 중에도 94명이 학교 폭력으로 피해를 입었다. 문제는 이같은 수치가 겉으로 드러난 수치라는 것이다.

학교 폭력이 학교가 아닌 가해 학생의 가정이나 인적이 드문 주택가 등에서 일어날 경우 학교는 물론 학부모가 하나하나 파악해 조치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물 밑에서 벌어지는 학교 폭력이 밝혀진 수치보다 몇 배 정도 더 많을 것이란 상담전문가들의 분석이 거짓이 아닌 것이다.

학교 폭력은 피해 학생뿐만 아니라 가해 학생에게도 상처를 입힌다. 물론 학교 폭력은 피해 학생에게 씻을 수 없는 정신·신체적 상처를 남기지만 가해 학생도 폭력 행위로 인해 정상적인 학교생활이나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상담전문가들은 학생들의 폭력성이나 공격성의 원인을 어른들에게 돌린다. 학교 폭력은 사회가 낳은 부작용이라는 것이다. 학교 폭력으로 피해를 입는 학생들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 사회가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