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대 인천시 교육위원 9명이 선출됐다.

이들은 오는 9월 1일부터 임기 4년의 교육위원직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이번 5대 교육위원부터는 시의원, 구의원과 마찬가지로 유급제로 바뀌는 만큼 시민들은 새 교육위원들에게 한층 새로운 각오와 자세를 요구하고 있다.

그간 시교육청에 대한 감시·견제 역할을 하는 교육위원 선거 방식에 대해 개선의 목소리가 높았다.

학교운영위원들을 선거인단으로 간접선거로 치러지는 교육위원 선거는 선거제도 자체의 한계 때문에 입후보자들의 정책을 꼼꼼히 따져 투표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었다.

그러다 보니 어느새 정책선거는 사라지고 학연 지연 등 개인적인 인연에 의존해 투표하는 경향이 많았다.

특히 선거인단 수가 소수여서 교육위원 후보자들이 쉽게 표를 돈으로 매수하려는 유혹에 휩싸여 볼썽사납게 불·탈법으로 얼룩지는 불상사를 초래하기 일쑤였다.

간접선거가 불·탈법을 부추기는 동력이 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학부모 전체가 투표하는 직접선거로 교육위원을 선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차 커져가고 있다.

그런가 하면 교육위원 제도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검토가 있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교육위원회가 독립기구로서의 역할을 한다지만 교육위원회의 예산과 정책 심의 역할이 상당부분 시의회와 중복된다는 점 때문이다.

이같은 여론을 감안해서 한때는 국회에서까지 교육위원 폐지 논의가 진행되기도 했다.

예산의 경우만 보더라도 교육위원회와 시의회 의결을 각각 따로 거쳐야 하는 등 기능과 역할면에서 상당부분 중복돼 있어 행정력 낭비요인이 많다.

이러한 지적들을 모두 겸허히 받아들여 시의회와 역할이 겹치는 부분은 교통정리를 해서 낭비 요인을 줄여야 한다.

새 시교육위원들 앞에는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의 학제에서부터 학군, 고교 평준화 정책 등 교육 현장에서 풀어야 할 난제들이 쌓여 있다.

당장 직영급식 전환이라는 원칙만 정한 채 한달 넘도록 표류하고 있는 학교급식 문제도 발등의 불이다.

이들 교육과 관련된 과제들을 해결하는데는 정치인들 보다도 교육위원들의 전문적인 지식이 훨씬 더 유용할 수 있다.

세세한 부분에까지도 역할을 확대해 존재의 당위성을 굳혀나가야 한다.

제 5대 시교육위원 선거 며칠 전, 흥사단인천본부 인천참여자치연대 등 10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교육위원선거인천시민연대’가 출마자들에게 받은 설문서를 분석한 결과 이번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이 일반 시민들보다도 보수적인 생각을 갖고 있어 이들이 당선된 후 예민한 교육현안에 민심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 역시 새 교육위원들이 귀담아 들어야 할 얘기다.

교육은 진보와 보수를 아우르는 진취적이고 균형잡힌 인물을 길러내야 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