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에 대한 복지가 마련되지 않은 나라는 국민소득이 아무리 높다 해도 결코 선진국이라 할 수 없다.

인천지역 장애인 보호사업장이 경영난에 직면해 있다는 보도이다.

우리 사회는 공공기관과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에 대해 법으로 장애인 의무 고용을 규정하고 있다.

고용현황을 분석하여보면 여전히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 사업장은 차치하고라도 공공기관들도 고용 실적이 그리 썩 좋은 편은 아니다.

더욱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고용은 그렇다 해도 장애인들이 생산해 내는 칫솔 몇 개 화장지 몇 박스 등 일상 소모품들조차 구매해주지 못한다는데 있다.

장애인 생산품 우선 구매제도가 있지만 강제성이 없어 공공기관의 관심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니 더욱 한심스러운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96년 8명의 장애인과 함께 출발, 현재 60명의 장애인들이 일하고 있는 한 사업장의 경우 칫솔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나 원자재 가격상승과 값싼 중국산에 밀려 경영위기를 맞고 있다한다.

안타까운 것은 이 사업장의 경우 장애인과 함께하는 사업이다 보니 다른 기업들처럼 인건비를 아끼고자 자동화 시설을 갖추고 구조조정을 할 수도 없고 해서 자연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문제는 일반인은 물론 공공기관에서 조차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는데 있다.

칫솔의 경우 사실 군부대 외에 다른 공공기관에서는 거의 무관심하다시피하다는 것이 사업장 측의 하소연이다.

장애인 우선 구매제가 의무조항 일 뿐 강제성이 없다 하나 그건 그렇지 않다.

의무조항은 강제할 법적 근거 유무를 떠나 우리 사회가 너나없이 반드시 지켜야하는 강행 규정으로 봐야한다. 하물며 공공기관에 있어서야.

국민소득 2만 달러니 3만 달러니 하고 운운하는 시대다.

아무리 국가가 부강하다해도 국가가 장애인의 삶을 아랑곳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사회복지국가가 결코 될 수 없다.

한해 평균 수십만명의 시민들이 자동차사고, 산업재해 등 각종 사건사고로 죽거나 다친다.

최근 들어 줄어들고 있다는 통계도 보이나 여전히 가공할 숫자다.

좀 심하게 말하면 오늘의 정상인도 언제 장애인 될지 모르는 예비 장애인들이다.

우리는 이런 문명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이다.

장애인 없는 사회는 없다.

우리 장애인들도 대다수가 산업현장에서 일을 하다가, 국가와 민족을 위해 싸우다가 다치거나 병든 똑같은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이다.

특별히 장애인들 가운데 보훈대상자라든가 산업재해자들이 이 나라를 위해 이바지하고 세운 공은 더 크다 할 수 있다.

장애인에 대한 특별한 대책이 아쉬운 때다.

이들만이라도 완전고용이 이루어지도록 국가는 힘써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