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신도시와 인천국제공항을 잇는 인천대교 교각 밑으로 6천TEU급 컨테이너선과 10만DWT(재화중량톤수, Dead Weight Tonnage)급 벌크선은 왕복통항이 어렵다는 결론이 나왔다.

?인천대교 밑을 통항하는 선박들의 안전항해를 보장하기 위한 시설물 설치와 관리인력 확보를 위해서는 모두 565억8천800만원의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인천항이 컨테이너중심항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인천대교 남단에 추진 중인 송도신항(인천남외항) 을 다리 준공에 앞서 운영할 수 있도록 서둘러 건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8천TEU급 컨테이너선이 자유롭게 입출항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지 못하면 인천항의 컨테이너중심항 육성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이같은 내용을 주요골자로하는 ‘인천대교 건설에 따른 안전조치 및 종합운영계획’ 연구용역이 완료됐다고 밝혔다. 연구용역은 한국해양수산연수원 주관으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과 (주)안세기술이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해 지난해 말 완료됐다.

?용역결과에 따르면 인천대교 공사중과 준공 후 상황을 놓고 안전성 평가 모의운항실험(시뮬레이션 )을 벌인 결과 7만DWT급 벌크선과 6만t급 자동차운반선은 공사 중이나 완공 후를 막론하고 왕복통항이 가능했다.

?컨테이너선은 4천TEU급 규모는 공사기간 중에는 왕복통항이 어렵지만 공사완공 후에는 양방향 통항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6천TEU급 컨테이너선과 1만DWT급 벌크선은 800m의 교각폭사이로의 왕복운항이 위험하다고 지적됐다.

?용역보고서는 선박의 안전통항을 위해 VTS센터 신축 등에 75억8천900만원, 항로표지시설 설치에 72억6천만원, 순찰선건조비 25억8천만 원 등 모두 565억8천800만원의 안전조치 비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또 인천대교 완공후 항로와 수역시설을 인천대교 주경간 제1항로 폭을 620m로 설정하고 팔미도 북서항로 개설을 위한 항계와 교통안전 특정해역을 확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박지는 현재 사용 중인 정박지 10개를 폐쇄하는 대신 9개의 정박지가 신설 가능한 것으로 조사돼 결론적으로 1개 정박지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천해수청은 이번 연구용역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사항 등을 놓고 항만 이용자 등과 협의를 벌여 선박통항과 항만운영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항만시설운영세칙 등 관련 규정 등을 개정해 인천대교 건설공사가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펼치기로 했다.

?그러나 용역결과 인천대교가 건설되면 다리 북쪽에 있는 항만들은 6천TEU급 컨테이너선이 자유롭게 운항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지 못하는데 따른 대체항만을 시급히 건설해야 한다는 문제도 지적됐다.

?선사들은 “6천TEU급 이상 8천TEU급 컨테이너선을 유치하지 못하면 미주나 유럽행 컨테이너 항로개설이 불가능하다고 봐야한다”며 다리 남쪽에 건설예정인 송도신항 건설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