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리기까지

국제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의 모체는 지난 2004년 인천여성작가연합회가 열었던 제1회 인천여성비엔날레로 거슬러올라간다. 당시 민간단체 (사)여성작가연합회 회원들은 자발적으로 재원을 마련, 여성작가와 여성을 주제로 한 전시를 열었다.

여성작가연합회는 곧바로 국제비엔날레로 키우겠다는 기획안을 마련, 중앙예산을 따내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선다. 1회 행사를 긍정적으로 검토한 인천시는 이들 기획안을 받아들여 우선 2006년 ‘Pre-비엔날레’로 가기로 하고 1억6천만원 예산을 지원한다. 이 과정에서 주체는 시로, 주관은 여성작가연합회가 재편된 비엔날레조직위원회로 낙점됐다.

Pre 행사를 치른 후 중앙에서는 국제비엔날레 본행사를 위해 국비 3억원 지원을 결정한다. 이에 시도 예산 3억원을 편성, 2007 국제비엔날레의 재원이 마련됐다.

이번 행사의 평가에 앞서 일각에서는 인천 여성작가들의 그간의 고군분투에 대해 박수를 보낸다. 오랜 시간동안 열성을 쏟아 만들어낸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공을 인정한다.

한 작가는 “여성작가들이 개인적인 시간과 생활을 희생해가며 만들어낸 결과물로 조직위에서는 최선을 다했다”고 긍정적인 평을 냈다.

▲공론의 장 열어야

2004년 인천여성비엔날레에 대해서는 형식과 내용에 대한 비판은 어디에도 없다. Pre 행사로 넘어오면서 여론은 달라진다. 이유는 명백하다. 공적자금이 투여된 인천시 주최 행사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문화예술단체가 졸속 개최를 우려한다는 공동성명서를 발표하는 것에서 출발, 개막 직전까지 원점에서 재논의해야 한다는 주장이 굽히지 않은 것도 지역내 합의와 공론화 없이 시가 일방적으로 주최하겠다고 나선 것이 근본적인 원인이었다.

동시에 조직위원회 구성이나 예술감독과 주제를 선정하는 공청회 한번 없이 여성단체연합회가 행사를 주관하는 조직위원회로 탈바꿈, 일개 단체의 행사 수준으로 진행했다고 문화예술계는 반기를 들었다.

문제는 올해도 여전히 지난해 과정을 되풀이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술계 한 인사는 “Pre 비엔날레 당시 제기된 행사개최 명분과 졸속추진 문제, 종료후 공식적인 평가회 개최 요구 등을 일체 수용하지 않은 채 올해는 아예 문을 걸어잠그고 진행해 왔다”고 비난 강도를 높였다.

이러한 주최·주관측의 폐쇄성은 지역 문화예술단체나 문화예술 지원의 축인 인천문화재단 등 지역사회 외면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해석한다.

바로 그 지점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 존속가치가 있는가, 아니면 이대로 1회성 행사로 끝나야 하는가에 대한 평가의 장이 펼쳐져야 한다는 것이다. 조직위원회 구성에서부터 행사의 지향점 도출, 시 대표축제로서의 적정성, 행사의 당위성에 이르기까지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공론화가 필요하다고 한결같이 지적한다.

박신의 경희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단편적인 지적보다는 전문가 집단의 평가단을 구성, 예술경영평가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짚었다.

정용일 혜원갤러리 관장은 “조직위나 지역 문화예술단체 모두 ‘내 것’이라는 인식을 버려야 사고와 행동반경의 확장이 이루어진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권경애 조직위원장은 “중앙 차원에서도 전문가들이 평가를 하고 있으며 조직위 차원에서도 행사를 끝낸 뒤 공론의 장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잔치에 손님을 초대해놓고 비난 일변도로 간다면 외부 작가들이 당황스러울 것”이라며 “부정적인 선입견을 버리고 한 두번이 아니라 여러 차례 전시장에 와서 가치를 평가를 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종구 중앙대 교수는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은 주최자인 시가 시민사회의 의견을 배제한 상태에서 문을 연 것”이라며 “이제라도 시는 인천 대표축제로 가는 것에 대한 적정성을 토론하는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수기자 ks@i-today.co.kr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