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부평구 부평동 286의 1 일원 ‘부평공원’의 보행로가 지반침하와 균열이 심각해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부평공원을 관리하고 있는 동부공원사업소는 이에 대한 보수예산을 해마다 투입하고 있어 올 7월부로 관리권을 이양받기로 한 부평구도 이때문에 인수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2일 부평공원 인근 부평3동 주민들에 따르면 부평공원의 보행로가 지반침하는 물론 수십여 곳에 균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동부공원사업소는 매년 수백만원의 예산을 들여 보수공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주민들은 ‘물먹는 하마’ 격이라며 근본적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부평구와 동부공원사업소도 지반침하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우려가 있다는 데 동의하지만 예산타령에만 머물고 있어,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보행로 바닥 교체는 물론 공원 부지에 있는 지하시설물에 대한 지질조사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관계 전문가들은 육군 88정비대가 이전한 후 조성된 부평공원 부지는 일제시대 때 조병창으로 사용됐고, 이때부터 땅굴 등 지하시설이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특히, 공원을 조성할 당시 지질조사가 미흡하게 진행됐기 때문에 지반침하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부평구 관계자는 “공원을 만들 때 땅굴 등 지하구조물이 발견된 적이 있는데다 배수작업을 마무리하지 않고 복토작업을 했다”며 “아직까지도 땅굴은 수로처럼 물이 흐르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부평공원에 심겨진 나무 등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있는 이유도 이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동부공원사업소도 지하시설물을 메운 흙이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침하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한 가운데, 포장재로 사용된 투스콘크리트도 교체해야 한다는 안을 내놓았다.

특히, 투스콘크리트는 팽창과 수축률이 높아 지하로 물이 흐를 수밖에 없고, 공원 산책로 바닥재로 사용하지 않는 재질이라는 것이다. 마사토황토포장이나 점토벽돌과 같은 재질이 사용해야 되지만, 이를 전면적으로 교체하기 위한 예산이 만만치 않다고 밝혔다.

동부공원사업소는 현재 시에 미보상부지에 대한 보상비(국방부, 재경부)만을 예산에 올려놓고 있는 상태로, 시는 1995년부터 2001년까지 11만3천㎡에 자연관찰원, 야외공연장, 야외전시장, 환경조형물 등을 설치키로 했지만, 현재 녹지와 수목만 조성해 놓고 있다.

김창문기자 asyou218@i-today.co.kr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