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대 인천사회의 신분 구성을 신사사회, 용인사회, 노동사회, 화류사회로 구분한 기록이 발견됐다.
또 당시 지방지들이 역사와 문화를 중심으로 서술한 것과는 달리 무역과 금융, 상업 등 각종 직업활동을 구체적으로 서술한 경제 중심의 인천 안내서가 공개됐다.
?
인천학연구원은 지난해 발굴한 대한제국기 인천연구자료인 ‘인천번창기’(仁川繁昌記)에 대한 해제를 마무리, 25일 오후 3시부터 남동구 구월동 씨티은행에서 인천학 세미나를 열었다.



1903년 인천 조선신보사에서 펴낸 ‘인천번창기’는 개항후 발행된 지방지중 최초의 본격적인 지방 안내서로, 저자 오가와 유조는 당시 인천에서 언론과 출판업에 종사했던 인물이다.
저자는 일본과 서구열강의 강요로 개항한 제물포항이 급속히 번창하고 있다는 사실을 통해 식민지 경영의 성공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대외적으로 알리려 했다. 또한 한국인들에게 근대화된 일본에 의존해 근대문명을 받아들이는 것이 국가발전의 지름길이라는 인식을 심고자 했다.
?
‘인천번창기’ 해제 연구를 수행한 김창수 인천학연구원 상임연구위원은 이날 세미나에서 발제자로 나서 당시 인천사회를 신사·용인·노동·화류 사회 등 4개 신분층으로 구분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전체 8장중 제7장 ‘사회구성과 풍속’편에 따르면 신사사회를 이루는 직종은 관공서장(1류), 은행회사원(2류), 무역상 및 잡화상(3류)이다.
또 용인사회는 상점지배원, 점원, 하녀로 구성되며, 노동사회에는 각종 인부, 목공, 미장이, 큰톱장이, 석공이 속한다.
네번째 화류사회는 야사카, 하리한, 이찌산, 아사오카 같은 요리점의 예기(藝妓)로 구성된다. 김 위원은 “당시 인천의 대표저인 예기로 이찌코마, 잇뾰, 코즈루, 치요코를 소개, 이들을 비롯한 기생 아홉명의 사진과 약력을 화보로 함께 실었다”고 밝혔다.
?
이 책에서 편찬자가 ‘이곳은 영사관 우체국, 은행, 회사, 학교, 병원에서부터 무역상, 및 잡화상에 이르기까지 모든 기관이 정비된 또하나의 작은 일본으로, 우리 일본인의 자치에 의해 조성되었다’고 기술한 것과 관련 김 위원은 “개항직후 인천은 일본인 방문자들에게 낯선 이국이 아닌 정겨운 도시로 인천의 번영은 결코 대한제국의 번영이 될 수없음을 의미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
또 그는 편찬자들이 말하는 인천은 지리적 범주가 아니라 사회적 개념으로 인천에 거주하던 일본 상인과 일본인만을 가리키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책 속에는 인천의 주인이던 한국인의 생활에 대한 기술은 극히 일부에 그쳐 있으며 그나마 왜곡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천번창기’는 엄밀히 말하자면 인천의 일본조계지에 살고 있던 일본인들의 번창기”라고 역설했다.
?
이어 그는 “일본인들의 한국시장 개척사이지만 그들의 의도여부와는 무관하게 식민지 수탈의 기록”이라고 전제, “이와같은 사료를 번역하는 이유는 일본인들이 기록한 지배의 역사를 면밀히 독해해서 우리 민족이 경험한 피지배와 저항의 역사를 재구성하는 자료로 삼고 동북아 관문도시인 인천의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하는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