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화’라는 말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양지가 있으면 음지가 있기 마련이라는 논리로 따지면 할말은 없지만 어찌됐건 ‘두 개의 사물이 몹시 동떨어져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말로 사회현상을 표현하는 말로 자주 사용되어 왔다.

요즘 인천지역 건설업체들 얘기를 들어보면 하나같이 양극화라는 말이 피부에 와닿는다고 입을 모은다.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곳곳에서 벌어지는 각종 공사로 외지 대형건설업체들이 앞 다투어 인천으로 사무실을 옮겨 올 만큼 인천은 말 그대로 ‘소문난 잔칫집’이다.

여기에 ‘지역경제 활성화’를 내걸고 각종 공사를 수주하려는 인천지역 건설업체들의 노력도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그 결과로 업계와 발주처의 인식의 변화와 함께 인천지역 대형공사에 지역 일반건설업체가 40%이상 비율로 원도급공사에 참여하는 등 가시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건설업체별로 현장에서 느끼는 체감효과는 전혀 달라 보인다.물론 일반건설이야 지역업체 참여율이 많게는 49%까지 오르는 등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그것이 하도급공사까지는 미치지 못해 결국 지역의 대형공사에 외지 건설노동자와 건설자재를 수급해 사용하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형공사의 하도급이 주계약사의 협력업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다 인천지역에 뿌리를 둔 대형건설사도 얼마안돼 결국 지역건설 활성화가 대형건설업체들만을 위한 정책이 아니냐는 볼멘소리도 들려온다.

실제로 최근 2년사이에 지역공사를 수주하기위해 인천으로 본사를 이전해 온 대형건설사들중 1~2개 업체를 제외하고는 지역 전문건설업체의 협력업체 등록지원에 소극적인 입장이다.

오히려 송도국제도시와 한화지구 등에서 공사를 벌이고 있는 외지의 대형건설사들이 지역의 중소건설업체들을 협력업체로 등록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모습이다.이러다보니 흔히 1군업체라고 불리는 인천지역의 대형건설사들중 절반 가까이가 협력업체의 지역전문건설업체 비율이 3∼5%에 그치고 있다.

결국 이런 모습이 지역건설 활성화를 가로막고 지역건설업계의 경영 양극화를 부채질하는 요인이 된다는 지적이다.몇 년 사이 본사를 이전해 온 대형건설사들이 인천업체라는 이름표를 당당하게 달기 위해서는 지역 건설업계를 끌어안는 모습부터 보여야 한다는게 업계의 지적이다.

물론 지역의 건설업체들도 당당하게 선택받기 위해서는 꾸준한 기술력 확보와 자기개발이 필요하다는 건 두말할 필요 없는 조건이다.지역건설업계의 경영 양극화 해소와 지역건설 활성화의 열쇠는 결국 대형건설사들의 의지에 달려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될 일이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