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 후의 포만감에 나른하다. 커피를 마시려는데 우연히 커피 믹스 끝부분에 적힌 숫자가 화제가 되었다. 누군가는 5 이상의 숫자부터 단 맛이 강하다고 했고, 다른 이는 1,2 번은 정말 쓴 맛이라며 맞장구 쳤다.

나도 언젠가 비슷한 말을 들은 적이 있다. 그 후 부터는 상쾌한 아침이면 2,3번이, 피곤이 밀려드는 오후에는 9번이 좋았다. 어쩌다 7번이 손에 잡히기라도 할 때면 네 잎 크로버를 찾아낸 것만큼 기뻤다.

기호에 맞는 한 잔의 커피가 주는 행복감을 모르는 것도 아니지만 바쁠 때면 평준화된 맛에 입맛을 맞추는 것도 나쁘지 않았다. 간편함 때문이다.

그런데 꼼꼼한 성향의 A선생만이 수긍할 수 없다는 듯 고개를 갸웃했다. 설탕조절 부분이 별도로 있는데 굳이 숫자로 당도 조절을 중복 표시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일리 있는 말이었으나 다수의 위력에 분쟁은 쉽사리 평정되는 듯 했다.

마침 차를 마시기 직전이어서 각기 다른 번호를 털어 넣고 더운 물을 부었다. 서로 남의 커피까지 시음한 결과 1번은 씁쓸했고 10번은 아주 달다는 의견일치를 보았다.

떨떠름한 표정의 A 선생이 분연히 일어나 포장에 적힌 소비자 상담실에 전화를 걸었다. 수화기를 내려놓자 상냥한 여직원의 명쾌한 응답을 재연했다.

“고객님, 생산라인의 번호일 뿐 다른 뜻은 없습니다.”

생산 시 스틱이 10열로 된 기계 장치에서 아래로 떨어지기 때문에, 하자 발생 시 위치 파악을 쉽게 확인하기 위한 단순한 품질관리 번호였던 것이다.

이만한 플라시보 효과를 찾기가 쉬운 일이랴. 그동안 1,2번이기에 씁쓸했고 10번이기에 달다고 생각했던 일은 또 얼마나 많았던가.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