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직접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시대다. 인천시는 도움이 필요한 곳을 직접 찾아 맞춤식 서비스를 실시하는 ‘재가복지서비스’를 도입, 최대한 수요자의 만족을 이끌어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과거의 복지서비스는 홀몸노인이나 저소득층, 장애인들에 대한 보조금 등을 지원하는 공적부조 업무에만 국한됐었다.

그러나 복지의 개념이 넓어지고 복지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다양해지면서 지자체 및 관계기관들 역시 발빠른 변화를 보이며 복지수요에 대처하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사회복지전문인력확충을 통한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는 저소득층을 사회복지전문인력으로 교육시켜 일자리를 창출하는 자활사업과도 맞닿아 있는 등 다각적인 복지서비스의 주요 사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복지정책의 집행현장에서 복지수요자의 다양한 수요에 대해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복지혜택의 중복과 누락을 방지하게 된 것이 찾아가는 복지서비스의 순기능이다.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는 피부로 와닿는 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을 통해 복지사업에 대한 혁신을 가져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중심 재가복지봉사센터

인천시는 올해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를 실시하는 16개소의 재가복지봉사센터에 모두 10억2천여만 원을 지원하고 있다.

복지서비스의 최일선에 있는 재가복지봉사센터는 집안청소와 식사준비, 취사, 세탁, 청소 등을 하는 가사지원 서비스와 안마와 간호 수발, 병원안내 및 동행, 통원차량지원, 병원수속대행, 보건소 안내, 약품구입, 집안소독 등의 간병 서비스 등을 실시하고 있다.

말벗이 되주거나 학업지도, 책 읽기, 여가지도, 나들이 동행, 방문 이미용 서비스를 해주는 정서 서비스도 있으며 지역 의료기관과 보건기관과의 연계 및 결연을 통해 방문 진료를 하는 의료 서비스, 탁아와 기능훈련, 취업알선 등 자립능력을 길러주는 자립지원 서비스도 시행한다.

재가보호서비스 요령과 방법을 교육하는 주민교육 서비스와 자원봉사자 교육, 물품과 후원자모집 등을 지원하는 후원 서비스 등도 주요 업무다. 이미 지난해 인천지역의 재가복지봉사센터를 통해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혜택을 입은 인원이 26만8천여 명에 달한다.

김진택 시 사회복지봉사과장은 “재가복지봉사센터를 통한 찾아가는 복지로 인해 다양한 복지 서비스가 가능해졌다”며 “수요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복지서비스의 실현으로 관공서의 문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거둔 것으로 자평한다”고 말했다.

특히 각 지역에서 자원봉사자의 교육과 대상자에 대한 선정, 서비스, 인력관리 등을 시행하는 재가복지봉사센터들의 역할은 시 복지서비스의 중심추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는 평가다.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를 받기 원하는 시민들은 각 동사무소나 구청, 시청의 담당자에게 신청하면 지역에 분산돼 있는 재가복지봉사센터나 복지관에 연결해주고 있다.

▲중증 장애인 활동보조지원사업

중증 장애인들은 원활한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을 위해서 누구보다도 직접적인 도움의 손길이 필요하다.

인천시는 신체적·정신적 이유로 원활한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이 어려운 장애인들에게 활동보조서비스를 제공,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사회참여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는 연중 장애인들에 대한 신변처리 지원과 가사지원, 일상생활 지원, 이동 보조, 동료상담서비스 등의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증장애인 가정에 활동보조인을 파견해 월 20~180시간 범위내에서 서비스를 지원한다.

지역의 동사무소로 중증장애인 서비스 신청을 하면 보건소에서 각 가정을 방문해 조사를 벌이고 군·구에 조사결과를 보내면 서비스 인정결과를 통지해 활동보조인 지원을 하게된다.

그러나 중증장애인에 대한 활동보조인 사업이 올해 5월부터 시범사업에서 정식사업으로 바뀐 뒤 활동보조인들의 봉사시간이 줄어들었다는 불만의 목소리도 있다.

1급 지체장애인 조 모(52·계양구 계산3동)씨의 경우 시범사업 시절 하루 9시간 씩 월 180시간의 활동보조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지만 정식사업으로 바뀐 뒤 한달 80시간으로 줄었다며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시범사업 시절 조 씨 옆에 붙어있던 가족들은 활동보조인 덕택에 일자리를 구할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다시 직장을 그만두고 조 씨의 병수발을 들어야 했다. 활동보조인들 역시 일하는 시간이 줄어 그만큼 수입도 감소했다.

또한 아직까지 활동보조인 양성이 충분치 못해 활동보조인 서비스 순서를 기다리는 장애인들도 상당수 있으며 활동보조인에 대한 예산마련이 어려운 상황이어서 이에 대한 보완책이 시급한 상황이다.시는 보건복지부의 개선안을 비롯해 시 자체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등 보다 나은 활동보조인 사업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무료 가사·간병도우미 사업

가사·간병 도우미 사업은 저소득층의 자활사업과 맞닿아 있는 중요한 사업이다. 돌봐줄 가족이 없는 중증질환자나 홀몸노인 등에게 간병인 교육을 거쳐 간병사업을 실시하는 방식이다.

시는 올해 복권기금 33억 원과 시비 1억 원 등 34억 원을 들여 차상위계층 저소득여성 414명에게 간병 교육을 실시했으며 1만 명이 넘는 중증질환자에게 간병 서비스를 실시했다.

이밖에 시는 사업성과를 위한 만족도 조사를 수혜자를 상대로 실시하는 한편 독일이나 프랑스의 노인수발보험제도 벤치마킹을 할 계획이다. 노인간병교육센터를 운영해 12개 과정 300명의 간병인을 배출했으며 45명의 간병인으로 구성된 광역간병공동체 ‘정다운 간병’을 출범시켰다.

시는 노인 장기요양보험 시행을 대비해 노인성 질환별 전문 간병기술, 치매·중풍, 호스피스 교육, 대회기법 등을 교육하는 등 간병도우미 사업을 확대 추진하고 수혜대상 범위 역시 확대할 계획이다.

▲129 기동반 서비스, ‘긴급지원제도’

만약 집에 불이나 갑자기 모든 재산을 잃었다면 보건복지콜센터인 129번을 누르면 된다.

지난해 3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긴급지원제도는 일시적인 위기상황에 처한 저소득층에 대해 신속하고 빠른 출장을 통해 생계비와 일시주거지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기동차량 및 장비를 갖추고 현장에 출동해 도움이 필요한 대상자를 만나 소득 및 재산조사를 벌인 뒤 생계비와 일시주거지 제공은 물론 다른 지원을 연결하는 다양한 보호방안을 마련해준다.

집안 주소득자의 사망이나 가출, 행방불명, 구금시설 수용 등으로 소득원을 잃었거나 중한 질병 및 부상을 입었을 때, 가족 구성원으로부터 버림받았을 때 가족폭력 또는 가구구성원으로부터 성폭력을 당한 때, 화재 등으로 주거지를 잃었을 때 129를 이용할 수 있다.

시는 129를 통해 식료품비와 의복비 등 최저생계비 100%를 지원하고 각종 의료서비스와 임시주거지, 동절기의 경우 난방비를 제공한다.

김진택 시 사회복지봉사과장은 “이제 복지서비스는 공무원들이 직접 찾아가서 공감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신속하고 정확한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시민들의 피부에 와닿는 수요자 중심의 복지서비스 실시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요한기자 yohan@i-today.co.kr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