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공동연구·조사위한 구축 방안 추진

설 훈 국회의원

남북, 백두산에‘화산 관측소’가 세워질 전망이다.

기상청은 남북간 화산 및 기상관련 공동연구 및 조사를 위한 구축 방안도 추진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져 화제를 모으고 있다.

설훈 의원은 “비정치적인 기상 분야에 대해 인도적 협력 통한 남북 신뢰관계 회복 ”이란 기대를 표명했다.

기상청이 백두산에 남북 공동으로 화산활동을 감시하는 관측소를 구축하는 방안을 수립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화산 분출 시 주변에 끼칠 막대한 인명·재산 피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그간 중국 주도로 화산 연구가 진행되는 등 북한의 자체 기반은 취약한 상황이어서 남북 협력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지난 25일 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상청에서 입수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에 따른 기상·기후·지진 분야 단기 및 중장기 협력과제(안)’를 보면 기상청은 조만간 백두산 화산활동 가능성을 진단하기 위해 남북 공동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어 정부는 항구적인 관측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1단계로 지각 움직임을 관측할 수 있는 화산 관측 장비와 통신망을 구비해 공동 관측소를 운영할 계획이다. 2단계로 공동 관측소 안에 땅속 마그마 움직임에 따라 미세하게 변동이 일어나는 지구의 자기장을 측정할 장비와 화산가스 및 암석시료 분석 시설도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백두산은 화산이 언제든지 분출할 수 있는 ‘활화산’으로 분류된다. 국내외 학자들은 백두산 분화주기를 100~200년 정도로 본다. 역사서에는 고려시대인 946년 대분화 이후 조선시대 들어서도 1413년, 1597년, 1668년, 1702년에 이어 1898년에도 분화한 것으로 나온다. 이어 기록상 마지막 분화는 1903년으로, 이때부터 지금까지 115년간 분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백두산 천지에는 여전히 김이 모락모락 나는 온천물이 쉴 새 없이 올라온다. 다시 분화가 된다면 용암류와 자갈·돌멩이 등이 섞인 화산쇄설류에 의한 1차 피해와 화산재 확산에 따른 2차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한다.

현재 기상청은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해 백두산 지표 온도와 천지 면적·수위를 분기별로 분석해 변화상을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현지 관측자료 수집에 어려움이 있어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가 힘들다. 앞서 2007년과 2011년 개성 등지에서 남북기상협력실무접촉회의와 남북화산대응전문가회의 등이 소집돼 남북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지만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백두산 현지 답사조차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반면 북한과 국경이 맞닿은 중국은 화산 폭발에 대비해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다. 중국은 1999년부터 백두산에 천지화산관측소를 운영하고 있다. 또 백두산 반경 50㎞ 이내에 지반 움직임을 측정하는 GPS 관측점 16곳, 지진관측소 11곳, 화산가스 측정지점 3곳을 설치해 분화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북한도 2011년부터 미국과 유럽 학자들을 초청해 공동연구팀을 만들고 화산활동을 분석 중이다.

이와 관련, 설훈 의원은 “비정치적인 기상 분야에서의 인도적 협력을 통해 남북의 신뢰관계가 회복될 수 있다”면서 “기상 분야 업무 격차가 해소되면 자연재해 공동대응 등 상호 이익도 추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