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폐기물에너지화 중심 산업으로 가닥
물산업 실패 거울 삼아 조직정비 필요

인천시가 환경산업 육성에 나섰다. 그 중심에는 서구 경서동 환경연구단지 안에 조성중인 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가 있다. 국내 환경기업의 기술력을 키워 해외 환경시장개척의 전초지지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위해 2017년 초쯤 완공을 목표로 사업비 1천560억원을 투입해 18만㎡의 터에 연구 및 실증연구시설과 시제품생산지원시설 등을 갖춘다. 2020년까지 환경사업화 성공율을 70%이상으로 끌어올리고, 해외수출 8조원을 달성하겠다는 것이 환경부의 의지다.

하지만 지난달 열린 설명회에 참여한 입주예비기업의 상황을 기대보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더 컸다. 설명회 참가 기업은 20곳 남짓. 당초 입주기업이 100곳에 이를 것이라는 예상을 감안하면 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싸늘했다.

게다가 설명회에 참가한 기업들은 인천·경기·서울 등지의 중소업체가 대부분이었다. 이대로라면 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를 통해 환경산업을 일으켜 세우겠다는 인천시 계획에 차질이 생길 형국이다.

시는 환경산업 중 인천이 경쟁력을 가져갈 수 있는 분야로 자원순환을 꼽고 있다. 폐기물을 에너지원으로 재이용하는 것이다. 시는 최근 질이 떨어지는 혼합폐기물을 연료제품화 하는 내용의 연구과제로 산업통상자원부(에너지기술평가원)의 출연금 48억원을 3년동안 연구개발(R&D)사업비로 확보했다.

시는 이 기술을 지원육성해 송도의 GCF사무국이 지원하는 개발도상국의 선도사업으로 활용해 세계 시장을 겨냥한다는 전략이다.

환경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선 전담조직의 신설이나 기존 조직의 확충이 필요하다. 기술개발부터 마케팅, 판로개척 등을 위한 민·관·학으로 구성된 ‘환경산업육성협의체’가 절실하다.

현재 인천시는 환경정책과가 주관하고 있다. 협의 테이블에 앉는 부서는 기껏해야 같은 환경녹지국인 녹색기후정책관이나 자원순환과 정도다. 여기에는 산업진흥과나 에너지정책과 등 경제산업국 부서는 없다.

부산시는 지난해 말 부산발전연구원을 통해 자원순환과 물관리 등 2대 산업을 이미 중점 환경산업으로 정하고, 육성방안도 제시했다. 세계 환경시장이 2017년 9천922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었다. 따라서 신설조직이나 기존 조직 확대를 논의하고 있다.

인천시는 미래의 환경산업으로 선점했던 물산업을 대구에 빼앗기는 쓰라린 실수를 경험했다. 대구는 20013년부터 2017년까지 대구국가산업단지에 글로벌 융합 물산업 허브 조성을 뼈대로 하는 물산업 클러스트를 추진 중이다. 이 사업에 국비 84%를 포함해 3천519억원을 투입하다.

인천시 동구는 현대제철 출신인 조택상 전임 구청장시절 제철과정에서 나오는 폐열을 이용해 지역난방을 추진하자고 현대제철 측에 제안했다. 근 4년간의 논의는 시늉만 내다가 끝내 결실없이 무산됐다. 현대제철이 배관 공사비 부담을 꺼려했던 것이다.

환경산업은 주체별 명확한 역할 분담과 협의 구조 없이는 불가능한 사업이다.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