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초기(3개월) 임산부가 대기오염에 노출될 수록 미숙아 출산 위험도를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일부 대기오염물질은 국내 대기환경기준을 만족하더라도 미숙아 출산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인하대 의대 산업의학과 임종한 교수팀이 2001년 1월∼2002년 12월까지 인천지역에서 출생한 신생아 5만2천113명(쌍둥이 제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기오염에 노출된 임산부 일수록 미숙아 출산 위험도가 그렇지 않은 임산부보다 25%가량 높았다.
오염물질별로는 일산화탄소의 경우 오염도 4단계(농도 0.91∼1.27㎎/㎥)에 노출된 임산부의 미숙아 출산 위험도는 오염도 1단계(0.47∼0.63㎎/㎥)에 노출된 임산부의 미숙아 출산 위험도에 비해 26%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 농도 역시 오염도 4단계(64.57∼106.39㎍/㎥)의 임산부가 오염도 1단계(26.99∼45.94㎍/㎥)의 임산부 보다 미숙아 출산 위험이 27%나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미세먼지의 국내 환경기준은 시간당 70㎍/㎥, 24시간은 150㎍/㎥이다.
이산화질소도 4단계(56.22∼80.58㎍/㎥) 오염에 노출된 임산부의 미숙아 출산 위험도가 1단계(10.41∼29.67㎍/㎥)보다 24% 상승했다. 이산화질소의 국내환경기준은 시간당 80㎍/㎥이다.
이산화황의 경우 4단계(45.86∼103.96㎍/㎥)의 오염에 노출된 임산부는 1단계(7.86∼17.61㎍/㎥)오염에 노출된 임산부보다 미숙아 출산 위험도가 21% 증가했다.
임 박사는 “임산부가 대기오염물질에 노출될 수록 미숙아 출산 위험성이 높은 원인은 염증매체를 통해 증가한 ‘프로스타그란딘’이 미숙아 출산의 생물학적 기전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임 교수팀의 이번 연구결과는 30일 서울시립대에서 열리는 ‘동아시아 국가의 대기오염과 건강피해 대응’을 주제로 열리는 국제심포지엄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박정환기자 hi21@i-today.co.kr
저작권자 © 인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